[한국공학대학교] 3D 프린팅을 이용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
- escho2
- 2024년 5월 22일
- 1분 분량
최종 수정일: 2024년 5월 27일
○ 기술개요
본 기술은 3D 프린팅을 이용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, 배향성이 우수한 압전 폴리머 복합체를 신뢰성있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
3D 프린팅용 압전 조성물을 SLA장치에 투입하고 광경화시켜 기판 상에 시드 결정을 형성한 뒤, 상기 시드 결정을 다운-업 방식으로 적층시켜 3차원 형상의 적층제를 형성함
○ 기술특징
기존 기술의 한계
입체 영상 기반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세라믹 조성물의 공정 및 소결 특성은 점도 및 고형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, 점도가 너무 낮으면 프린팅 동안에 석출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프린팅 후 상부와 하부의 밀도 사이의 편차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음
2. 본 기술의 우위성
시드 결정을 다운-업 방식으로 SLA 프린팅을 이용하여 적층하기 때문에 템플레이트를 방향성 있게 배열할 수 있으며, 3차원 형상의 고 배향성 압전 복합체를 적층하고 비정상 입성장을 통해 특정 방향으로 배향된 세라믹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음
댓글